(오늘의묵상-QT) 사무엘상 1장 1절 ~28절 한나의 서원기도(사무엘의 출생)
사무엘상은 이스라엘의 초대 왕인 사울 시대의 역사를 기록한다. 사울의 통치연대는 주전 1050-1010년이라고 본다. 사무엘상 1-8장은 사무엘의 활동에 대해, 사무엘상 9-15장은 사울의 활동에 대해, 또 사무엘상 16-31장은 다윗의 피난 생활에 대해 증거한다. 사무엘상의 특징적 진리는 교만과 불순종이 사람의 실패의 원인이라는 것이다. 그것은 사울의 실패를 통해 잘 증거되었다.
[1-2절] 에브라임 산지 라마다임소빔에 에브라임 사람 엘가나라 하는 자가 있으니 그는 여로함의 아들이요 엘리후의 손자요 도후의 증손이요 숩의 현손이더라. 그에게 두 아내가 있으니 하나의 이름은 한나요 하나의 이름은 브닌나라. 브닌나는 자식이 있고 한나는 무자(無子)하더라.
[3-5절] 이 사람이 매년에 자기 성읍에서 나와서 실로에 올라가서 만군의 여호와께 경배하며 제사를 드렸는데 엘리의 두 아들 홉니와 비느하스가 여호와의 제사장으로 거기 있었더라.
엘가나가 제사를 드리는 날에는 제물의 분깃을 그 아내 브닌나와 그 모든 자녀에게 주고 한나에게는 갑절을 주니 이는 그를 사랑함이라. 그러나 여호와께서 그로 성태치 못하게 하시니.
[6-8절] 여호와께서 그로 성태치 못하게 하시므로 그 대적 브닌나가 그를 심히 격동하여 번민케 하더라. 매년에 한나가 여호와의 집에 올라갈 때마다 남편이 그같이 하매 브닌나가 그를 격동시키므로 그가 울고 먹지 아니하니 그 남편 엘가나가 그에게 이르되 한나여, 어찌하여 울며 어찌하여 먹지 아니하며 어찌하여 그대의 마음이 슬프뇨? 내가 그대에게 열 아들보다 낫지 아니하뇨?
[9-11절] 그들이 실로에서 먹고 마신 후에 한나가 일어나니 때에 제사장 엘리는 여호와의 전 문설주 곁 그 의자에 앉았더라. 한나가 마음이 괴로와서 여호와께 기도하고 통곡하며 서원하여 가로되 만군의 여호와여, 만일 주의 여종의 고통을 돌아보시고 나를 생각하시고 주의 여종을 잊지 아니하사 아들을 주시면 내가 그의 평생에 그를 여호와께 드리고 삭도를 그 머리에 대지 아니하겠나이다.
[12-18절] 그가 여호와 앞에 오래 기도하는 동안에 엘리가 그의 입을 주목한즉 한나가 속으로 말하매 입술만 동하고 음성은 들리지 아니하므로 엘리는 그가 취한 줄로 생각한지라. 엘리가 그에게 이르되 네가 언제까지 취하여 있겠느냐? 포도주를 끊으라. 한나가 대답하여 가로되 나의 주여, 그렇지 아니하니이다.
나는 마음이 슬픈 여자라. 포도주나 독주를 마신 것이 아니요 여호와 앞에 나의 심정을 통한 것뿐이오니 당신의 여종을 악한 여자로 여기지 마옵소서. 내가 지금까지 말한 것은 나의 원통함과 격동됨이 많음을 인함이니이다. 엘리가 대답하여 가로되 평안히 가라. 이스라엘의 하나님이 너의 기도하여 구한 것을 허락하시기를 원하노라. 가로되 당신의 여종이 당신께 은혜 입기를 원하나이다 하고 가서 먹고 얼굴에 다시는 수색이 없으니라.
[19-23절] 그들이 아침에 일찌기[일찍이] 일어나 여호와 앞에 경배하고 돌아가서 라마의 자기 집에 이르니라. 엘가나가 그 아내 한나와 동침하매 여호와께서 그를 생각하신지라. 한나가 잉태하고 때가 이르매 아들을 낳아 사무엘이라 이름하였으니 이는 내가 여호와께 그를 구하였다 함이더라.
그 사람 엘가나와 그 온 집이 여호와께 매년제와 그 서원제를 드리러 올라갈 때에 오직 한나는 올라가지 아니하고 그 남편에게 이르되 아이를 젖떼거든 내가 그를 데리고 가서 여호와 앞에 뵈게 하고 거기 영영히 있게 하리이다. 그 남편 엘가나가 그에게 이르되 그대의 소견에 선한 대로 하여 그를 젖떼기까지 기다리라. 오직 여호와께서 그 말씀대로 이루시기를 원하노라. 이에 그 여자가 그 아들을 양육하며 그 젖떼기까지 기다리다가.
[24-28절] 젖을 뗀 후에 그를 데리고 올라갈새 수소 셋과 가루 한 에바와 포도주 한 가죽부대를 가지고 실로 여호와의 집에 나아갔는데 아이가 어리더라. 그들이 수소를 잡고 아이를 데리고 엘리에게 가서 한나가 가로되 나의 주여, 당신의 사심으로 맹세하나이다. 나는 여기서 나의 주 당신 곁에 서서 여호와께 기도하던 여자라. 이 아이를 위하여 내가 기도하였더니 여호와께서 나의 구하여 기도한 바를 허락하신지라. 그러므로 나도 그를 여호와께 드리되 그의 평생을 여호와께 드리나이다 하고 그 아이는 거기서 여호와께 경배하니라.
본장의 묵상은? 첫째로, 엘가나 가정의 갈등은 일부일처의 하나님의 뜻을 저버린 데서 시작되었다. 게다가 브닌나의 교만과 시기 질투심이 그 갈등을 증폭시켰다. 인간의 모든 불행은 죄 때문에 온다. 죄는 슬픔과 불행을 가져온다. 그러나 하나님의 계명에 순종하여 의를 행하는 자는 평안을 누릴 것이다(사 48:17-18). 우리는 성경에 계시된 하나님의 뜻을 저버리지 말고 오직 그 뜻에 순종하며 살자.
둘째로, 우리는 고통 중에 하나님께 기도하자. 한나는 아이를 가지지 못하는 마음의 고통이 있었다. 게다가, 브닌나는 그를 심히 격동시켰다. 한나는 마음이 괴로워서 울었고 음식을 먹지도 못했다. 그러나 그는 그 고통 때문에 더욱 하나님을 찾고 그를 의지했고 그에게 기도했다. 그는 간절히 기도하였다. 그는 서원의 기도를 하였다. 그는 오랫동안 기도했다. 그의 간절한 기도는 마침내 응답을 받았다. 하나님께서는 한나를 생각하셨다. 그는 한나를 긍휼히 여기셨다. 한나는 잉태하였고 아들을 낳았다. 하나님께서는 한나의 구한 것을 허락하셨다. 기도는 모든 문제의 해결책이다. 예수께서는, “구하라, 그러면 너희에게 주실 것이요”라고 말씀하셨고 강청의 기도, 즉 끈질긴 기도를 하고 낙망치 말고 기도라고 교훈하셨다(마 7:7-8; 눅 11장; 18장).
셋째로, 우리가 하나님께 서원한 것이 있으면 우리는 그것을 이행해야 한다. 사람과의 약속도 부득이한 일이 아니면 지켜야 한다. 하물며 하나님과의 약속이랴! 한나는 아들을 주시면 그를 평생에 하나님께 드리겠다고 서원하였고 그 약속을 이행하였다. 서원을 이행한다는 것은 하나님을 참으로 경외하며 순종한다는 표이다. 우리도 하나님과 약속한 것이 있으면 다 이행하자. 성경은 하나님의 장막에 유할 자는 마음에 서원한 것은 해로울지라도 변치 아니하는 자라고 말했다.